채워가는공간
A형 간염 본문
A형간염 예방접종이 필요하다는 통지를 받고
찾아보게 된 A형 간염.
예방접종하러 가기 전 이게 뭔지는 알아야 할 것 같아서 찾아보게 되었다.
1. 증상: 전형적으로 고열, 권태감, 식욕부진, 오심, 복통, 진한 소변, 황달이 급격히 발생, 6세 이상의 소아나 성인에서는 대부분 간염의 증상이 생기는데, 이 중 70%에서 황달이 동반 됨
2. 원인
1) 직접적 요인: 분변-경구 경로
2) 간접적 요인: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적으로 전파되거나 분변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을 섭취
3. 접종
[연령별 A형간염 예방접종 시기 및 방법]
- 1980년~1999년생 : 2020년1월13일부터 12월31일까지 항체검사 없이 바로 접종
- 1970년~1979년생 : 2020년2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항체검사 후 면역이 없음을 확인 후 접종
A형간염 예방접종은 6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
1980년~1999년생은 낮은 항체보유율 고려하여 항체검사 없이 바로 접종한다고 합니다. 항체보유율이 높은 1970년 ~ 1979년생은 항체 검사 후 예방접종이 필요한 사람만 2020년 2월 1일부터 항체검사를 실시하고, 항체가 없음을 확인한 후 백신접종을 받게 됩니다.
국내 사용 중인 a형 간염 백신 종류: 하브릭스, 박타, 아박심
국내에서 사용 중인 A형 간염 백신은 병원체를 배양한 후 포르말린으로 불활성화시킨 백신으로 사백신이라고도 불리는 불활성화 백신에 속한다. 살아있지 않기 때문에 몸 안에서 증식할 수 없으며,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 투여해도 감염증을 유발할 수 없어 안전하다. 대신 1회 접종으로는 완벽한 예방이 어렵고 장기적인 면역력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추가 접종이 필요하다. 2회 접종 시 94~100%의 예방 효과를 보이며, 장기간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으나 이론적으로 성인에서는 25년 이상, 소아에서는 14~20년간 예방 효과가 유지될 것이라 예측되고 있다
- 출처: [네이버 지식백과] A형 간염 백신 (약학용어사전)
4. 부작용
통증, 발적 같은 국소 이상반응과 두통, 과민, 식욕감소, 피로, 발열 등의 전신이상반응 이 있으며 시간이 경과하면서 소실 됨
생각보다 걸리기 쉬운 병이기에 어서 예방접종을 맞아야 할 것 같다.
'정보공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브리타 정수기 후기 필터 사용방법 (0) | 2021.09.24 |
---|---|
서울여행 추천 국립고궁박물관 feat.안녕모란 (0) | 2021.09.23 |
11번가 아마존 우주패스 첫가입 이벤트 (0) | 2021.09.21 |
한남동 화덕피자 맛집 부자피자 1호점 후기 (0) | 2021.09.21 |
서울 서촌 카페 스태픽스 (0) | 2021.09.20 |